프리즈 서울 전경 (사진= 프리즈 서울)


제4회를 맞은 프리즈 서울이 9월 6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마크 브래드포드(Mark Bradford)의 3부작 작품 Okay, then I apologize (2025)이 4,500,000 USD (약 62억 6,000만 원)에 판매돼 최고가를 기록했다.

그 외에도 게오르그 바젤리츠(Georg Baselitz)의 작품 Erstens, bitte schön (2014)을 1,300,000 EUR (약 21억 2,000만 원), Es ist dunkel, es ist (2019)을 1,800,000 EUR (약 29억 3,000만 원), 조지콘도의 작품 등 많은 작품이 팔렸다. 아래 갤러리별 세일즈 리포트를 참조할 수 있다.

2025년 9월 3일 프리뷰를 시작으로, 프리즈 서울 2025에는 28개국에서 121개의 갤러리가 참여했다. 나흘간 48개국에서 7만명이 찾았으며, 160개 이상의 세계 유수 미술관 및 기관 관계자들이 함께했다.

또한 을지로, 한남, 청담, 삼청 등지에서 펼쳐진 네이버후드 나잇은 리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MMCA), 서울시립미술관, 아트선재센터,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송은 등 주요 기관과 갤러리를 무대로 다채로운 연장 운영과 이벤트를 선보였다.

프리즈 서울의 공식 헤드라인 파트너인 LG OLED는 예술과 기술의 교차점을 잇는 협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글로벌 리드 파트너 도이치뱅크(Deutsche Bank) 역시 20년 넘게 지속된 긴밀한 파트너십을 이어오고 있다.

패트릭 리(Patrick Lee), 프리즈 서울 디렉터는 “개막과 동시에 눈에 띄는 판매 성과와 활발한 참여를 확인했습니다. 이 모멘텀은 주간 내내 이어지며 서울이 글로벌 아트 캘린더에서 핵심적인 만남의 장으로 자리잡았음을 다시 한 번 보여주었습니다. 무엇보다 서울의 풍부한 예술 생태계와 학계, 헌신적인 컬렉터들이 국제 미술계와 긴밀히 연결되고 있다는 점이 더욱 두드러졌습니다. 동시에 프리즈 라이브, 프리즈 필름 등 페어의 큐레이션 프로그램은 서울을 단순한 시장 중심지를 넘어, 세계 예술 담론이 교차하는 무대로 확고히 자리매김하게 했습니다.”라고 말했다.

오혜원, LG전자 MS본부 경험마케팅 상무는 “프리즈 서울 2025를 통해 예술과 기술의 의미있는 동반을 확신할 수 있었고 LG OLED가 구현하는 박서보만의 색의 향연에 모두를 초대할수 있어 더없이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라고 언급했다.

마르코 파글리아라(Marco Pagliara), 도이치 뱅크 프라이빗 뱅크 이머징 마켓 총괄은 “프리즈 서울 2025는 국제적으로 주목받는 작가들과 함께 한국의 역동적인 동시대 미술 생태계를 보여주었습니다. 글로벌 리드 파트너로서 차세대 컬렉터와 함께할 수 있어 뜻깊었습니다.”라고 말했다.

프리즈는 이번 페어와 함께 연중 운영되는 새로운 전시 공간 ’프리즈 하우스 서울(Frieze House Seoul)’을 개관했다. 김재석 큐레이터가 기획한 개막전 《UnHouse》는 프리즈 하우스 서울의 신임 디렉터 앤디 세인트 루이스(Andy St. Louis)의 지휘 아래 10월 2일까지 이어지며, 페어 이후에도 전시와 담론을 지속하는 플랫폼으로 기능할 예정이다.

세일즈 리포트 (Sales Reprt)

국제 주요 갤러리 (International Leaders)

하우저앤워스(Hauser & Wirth)는 아시아 전역의 개인 컬렉션과 기관에 주요 작품들을 판매했으며, 마크 브래드포드(Mark Bradford)의 3부작 Okay, then I apologize (2025)을 4,500,000 USD (약 62억 6,000만 원), 조지 콘도(George Condo)의 Purple Sunshine (2025)을 1,200,000 USD (약 16억 7,000만 원)에 판매했다. 또한 루이스 부르주아(Louise Bourgeois)의 드로잉 2점이 각각 950,000 USD (약 13억 2,000만 원)와 600,000 USD (약 8억 3,000만 원), 패브릭에 프린트한 디지털 작업이 165,000 USD (약 2억 3,000만 원), 라시드 존슨(Rashid Johnson)의 회화가 750,000 USD (약 10억 4,000만 원)에 판매되었다.

Georg Baselitz Erstens bitte schon 2014 (medium res) (사진= 화이트큐브)


화이트 큐브(White Cube)는 게오르그 바젤리츠(Georg Baselitz)의 Erstens, bitte schön (2014)을 1,300,000 EUR (약 21억 2,000만 원), 크리스틴 아이 츄(Christine Ay Tjoe)의 캔버스 에 혼합재료, 490,000 USD (약 6억 8,000만 원), 안토니 곰리(Antony Gormley)의 조각 2점을 각각 450,000 GBP (약 8억 원)와 250,000 GBP (약 4억 7천만원), 트레이시 에민(Tracey Emin)의 청동 작품을 220,000 GBP (약 4억1천만원), 모나 하툼(Mona Hatoum)의 작품을 170,000 GBP (약 3억 2천만원), 세리스 윈 에반스(Cerith Wyn Evans)의 네온을 150,000 USD (약 2억 1,000만 원), 에미 화이트호스(Emmi Whitehorse)의 혼합매체 작업을 150,000 USD (약 2억 1,000만 원), 툰지 아데니-존스(Tunji Adeniyi-Jones)의 회화를 100,000 USD (약 1억 4,000만 원), 엔리코 데이비드(Enrico David)의 회화를 62,000 USD (약 8,600만 원), 미노루 노마타(Minoru Nomata)의 회화 2점을 각각 68,000 USD (약 9,400만 원)와 60,000 USD (약 8,300만 원)에 판매했다고 보고했다.

스프루스 마거스(Sprüth Magers)는 조지 콘도의 Thinking and Smiling (2025)을 1,800,000 USD (약 25억 원), 로버트 모리스(Robert Morris)의 펠트 작품을 600,000 USD (약 8억 3,000만 원), 바바라 크루거(Barbara Kruger)의 작품 2점을 각각 500,000 USD (약 7억 원)와 100,000 USD (약 1억 4,000만 원), 안네 임호프(Anne Imhof)의 청동을 150,000 EUR (약 2억 5,000만 원), 이미래의 작품을 20,000 EUR (약 3,300만 원), 베른트 & 힐라 베허(Bernd and Hilla Becher)의 사진 4점을 각각 20,000 EUR (약 3,300만 원)에 판매했다.

타데우스 로팍(Thaddaeus Ropac)은 게오르그 바젤리츠의 Es ist dunkel, es ist (2019)을 1,800,000 EUR (약 29억 3,000만 원), 알렉스 카츠(Alex Katz)의 회화를 900,000 USD (약 12억 5,000만 원), 마르타 융비르트(Martha Jungwirth)의 작품 2점을 각각 340,000 EUR (약 5억5천만원)와 60,000 EUR (약 9,800만 원), 조안 스나이더(Joan Snyder)의 회화 2점을 각각 160,000 USD (약 2억 2천만원)와 60,000 USD (약 8천만 원), 안토니 곰리의 드로잉을 25,000 GBP (약 4,700만 원)에 판매했다.

한국 주요 갤러리 (Korean Leaders) 판매 현황

학고재는 김환기의 유화 Cloud and the Moon (1962)을 20억원에 판매하는 등 주목할 만한 성과를 기록했다.

국제갤러리는 30여 점 이상의 작품을 판매했으며, 박서보의 캔버스 혼합매체 작품을 540,000–648,000 USD (약 7억 5,000만–9억 원), 제니 홀저(Jenny Holzer)의 작품을 400,000–480,000 USD (약 5억 6,000만–6억 7,000만 원), 다수의 하종현 회화 작품을 99,000–276,000 USD (약 1억 4,000만–3억 8,000만 원)에 판매했다.

갤러리 현대는 정상화의 회화를 약 600,000 USD (약 8억 3,000만 원), 존 배(John Pai)의 조각을 300,000 USD (약 4억 2,000만 원)에 판매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티나 김 갤러리는 김창열의 회화를 350,000 USD (약 4억 9,000만 원), 하종현의 회화 3점을 각각 230,000–390,000 USD (약 3억 2,000만–5억 4,000만 원), 이미래(Mire Lee)의 조각을 40,000 USD (약 5,600만 원), 멀티미디어 작업을 25,000 USD (약 3,500만 원)에 판매했다.

PKM 갤러리는 윤형근 작품을 약 400,000 USD (약 5억 6,000만 원), 유영국 작품을 250,000 USD (약 3억 5,000만 원), 정현의 작품 3점을 각각 약 60,000 USD (약 8,300만 원)에 판매했다.

갤러리 조선은 최수련의 작품을 15,000,000 만원(약 10,800 USD), 우민정의 작품 2점을 각각 15,000,000 만원 (약 10,800 USD)에 판매했다고 밝혔다.

블루칩 국제 갤러리 (Blue-Chip International)

데이비드 즈워너(David Zwirner)는 캐서린 번하트(Katherine Bernhardt), 후마 바바(Huma Bhabha), 오스카 무리요(Oscar Murillo), 월터 프라이스(Walter Price)의 신작 회화 및 조각과 함께, 미카엘 보레만스(Michaël Borremans), 말레네 뒤마스(Marlene Dumas), 볼프강 틸만스(Wolfgang Tillmans), 루카스 아루다(Lucas Arruda)의 주요 회화와 사진들을 배치했다.

페이스 갤러리(Pace Gallery)는 메리 코스(Mary Corse)의 회화를 225,000 USD (약 3억 1,000만 원), 로버트 인디애나(Robert Indiana)의 조각을 195,000 USD (약 2억 7,000만 원), 아돌프 고틀리브(Adolph Gottlieb)의 캔버스를 195,000 USD (약 2억 7,000만 원), 알리샤 크바데(Alicja Kwade)의 혼합매체 작업 2점을 각각 38,000 EUR (약 6,200만 원), 키키 스미스(Kiki Smith)의 Small Wave 연작 조각을 28,000 USD (약 3,900만 원), 나와 고헤이(Kohei Nawa)의 조각 3점을 각각 18,000 USD (약 2,500만 원)에 판매했으며, 오카자키 겐지로(Kenjiro Okazaki)의 다패널 아크릴 회화도 판매했다.

리슨 갤러리(Lisson Gallery)는 올가 데 아마랄(Olga de Amaral)과 사라 커닝햄(Sarah Cunningham)의 작품 여러 점, 스기모토 히로시(Hiroshi Sugimoto)의 사진을 250,000 USD (약 3억 5,000만 원), 레이코 이케무라(Leiko Ikemura)의 회화 4점을 각각 140,000 EUR (약 2억 8,000만 원), 100,000 EUR (약 1억 6천 만 원), 70,000 EUR (약 1억 1,400만 원) 2점에 판매했으며, 올리버 리 잭슨(Oliver Lee Jackson)과 줄리안 오피(Julian Opie)의 작품도 배치했다.

리만 머핀(Lehmann Maupin)은 라이자 루(Liza Lou)의 비즈 캔버스를 240,000–260,000 USD (약 3억3천만원–3억6천 원), 헤르난 바스(Hernan Bas)의 회화를 225,000 USD (약 3억 1,000만 원), 데이비드 살레(David Salle)의 회화를 130,000–170,000 USD (약 1억 8,000만–2억 4,000만 원)에 판매했다고 보고했다.

알민 레쉬(Almine Rech)는 김민정(Minjung Kim)의 회화를 120,000–140,000 EUR (약 1억 6,000만–1억 9,000만 원), 정영주(Youngju Joung)의 작품을 70,000–80,000 USD (약 9천 7,000만–1억1천만 원), 로비 드위 안토노(Roby Dwi Antono)의 회화를 50,000–60,000 USD (약 7억–8억 원), 올리버 비어(Oliver Beer)의 작품을 50,000–60,000 USD (약 7천만원–8천만원), 지오 지글러(Zio Ziegler)의 작품을 45,000–55,000 USD (약 6천 2백만–7천6백만 원), 사볼츠 보조(Szabolcs Bozó)의 회화를 35,000–45,000 USD (약 4천 9백만 – 6천 2백만 원)에 판매했다.

메누르(Mennour)는 이우환(Lee Ufan)의 회화를 600,000 EUR (약 9억 7,000만 원), 우고 론디노네(Ugo Rondinone)의 조각을 200,000 USD (약 2억 7천 만 원)에 판매했다.

글래드스톤 갤러리(Gladstone Gallery)는 살보(Salvo)의 회화를 285,000 USD (약 3억 9천6백만 원), 모린 갈라스(Maureen Gallace)의 회화를 여러 점 각각 100,000 USD (약 1억 4,000만 원), 우고 론디노네의 작품을 70,000 USD (약 9천7백만 원), 조지 콘도의 작품을 20,000–100,000 USD (약 2천 8,000만–1억 3천9백만 원), 아니카 이(Anicka Yi)의 켈프 조각을 60,000 USD (약 8천 3,000만 원), 레이첼 로즈(Rachel Rose)의 회화를 55,000 USD (약 7천 6백만 원), 질리언 카네기(Gillian Carnegie)의 회화를 50,000 GBP (약 9천 4백만원), 데이비드 라페노(David Rappeneau)의 작품 여러 점을 16,500–32,000 USD (약 2천3백만원 – 4천 4백만원)에 판매했다.

마시모 데 카를로(Massimo de Carlo)는 릴리 스톡맨(Lily Stockman)의 작품을 50,000–100,000 USD (약 7천만원–1억4천만 원), 파올라 피비(Paola Pivi)의 작품을 20,000–40,000 USD (약 2천8백만–5천 6백만 원), 도미니크 펑(Dominique Fung)의 작품을 20,000–30,000 USD (약 2천 8백만 –4천 2백만 원), 배헤윰(Hejum Bä)의 작품을 20,000–30,000 USD (약 2천 7백만–4천 2백만원)에 판매했다.

중견 및 신규 갤러리 (Mid-Sized and New Entrants)

커먼웰스 앤 카운슬(Commonwealth and Council)은 이강승과 로터스 강(Lotus L. Kang)의 작품을 한국 컬렉터 및 미술관에 판매했다.

제이슨 함(Jason Haam)은 이우환 작품을 100,000 USD (약 1억 3,900만 원), 이목하(Moka Lee)의 회화 두 점을 각각 100,000 USD (약 1억 3,900만 원)와 10,000 USD (약 1,390만 원), 마이크 리(Mike Lee)의 회화를 50,000 USD (약 6,950만 원), 스털링 루비(Sterling Ruby)의 혼합매체 작업을 80,000 USD (약 1억 1,100만 원), 아만다 볼드윈(Amanda Baldwin)의 회화를 40,000 USD (약 5,560만 원)에 판매했다.

디스위켄드룸(ThisWeekendRoom)은 김진희의 회화를 18,000–20,000 EUR (약 2,930만–3,260만 원), 최지원과 김서울의 회화를 각각 17,000–19,000 EUR (약 2,770만–3,100만 원)에 배치했다.

캐나다 갤러리(Canada Gallery)는 캐서린 번하트(Katherine Bernhardt)의 아크릴 회화를 150,000 USD (약 2억 900만 원)에, 또 다른 회화를 20,000–50,000 USD (약 2,780만–6,950만 원)에, 소규모 작품들을 약 40,000 USD (약 5,560만 원)에 판매했다.

서울에 새롭게 설립된 마이어 리거 울프(Meyer Riegger Wolff, 마이어 리거와 조슬린 울프 공동 운영)는 미리암 칸(Miriam Cahn)의 유화 및 분필 캔버스를 300,000 CHF (약 4억 7,400만 원), 작가의 종이 작업을 5,000 CHF (약 790만 원), 알마 펠드핸들러(Alma Feldhandler)의 작품 두 점을 각각 2,800 CHF (약 440만 원)와 2,000 CHF (약 316만 원), 이사 멜스하이머(Isa Melsheimer)의 작품 두 점을 각각 6,000 EUR (약 980만 원), 이지위(Jeewi Lee)의 작품을 7,000 EUR (약 1,140만 원), 조너선 몽크(Jonathan Monk)의 개념 시리즈 34점을 100–600 EUR (약 16만–98만 원)에 판매했다.

아시아 주요 하이라이트 (Asia Highlights)

도쿄 갤러리 + BTAP(Tokyo Gallery + BTAP)는 이진우의 작품을 60,000–70,000 USD (약 8천3백만–9천 7백만 원), 스가 기시오(Kishio Suga)의 작품 4점을 각각 10,000–30,000 USD (약 1,390만–4,170만 원), 세키네 요시오(Yoshio Sekine)의 작품을 12,000 USD (약 1,670만 원)에 배치했다.

아라리오 갤러리(Arario Gallery)는 이진주, 나와 고헤이(Kohei Nawa), 시융춘(SHIH Yung-Chun)의 회화와 조각에 대해 큰 관심을 끌었다.

아시아 아트 센터(Asia Art Center)는 추 웨이보(CHU Weibor)와 유유양(YuYu Yang)의 작품을 각각 100,000–150,000 USD (약 1억 3,900만–2억 800만 원)에 판매했다.

고타로 누카가(Kotaro Nukaga)는 이노우에 유이치(Yu-ichi Inoue)의 종이 위 먹 작품 두 점을 각각 100,000 USD (약 1억 3,900만 원), 90,000 USD (약 1억 2,500만 원)에 판매했으며, 추가로 60,000–100,000 USD (약 8,300만–1억 3,900만 원) 범위의 작품 3점을 배치했다.

지 갤러리(G Gallery)는 최윤희의 회화 6점을 각각 2,400–19,000 USD (약 330만–2,640만 원), 황수연(Hwang Sueyon)의 작품을 10,000 USD (약 1,390만 원), 문이삭(Isaac Moon)의 작품을 2,000 USD (약 280만 원)에 판매했다.

하이브 센터 포 컨템포러리 아트(Hive Center for Contemporary Art)는 회화 18점과 조각 1점을 20,000–100,000 USD (약 2,780만–1억 3,900만 원)에 판매했다.

리안 갤러리(Leeahn Gallery)는 이강소의 작품 두 점을 각각 138,000,000원, 100,000,000원에 판매했으며, 이진우, 이광호, 김근태 등의 작품도 판매했다.

아노말리(Anomaly)는 도시유키 고니시(Toshiyuki Konishi)의 대형 유화를 30,000 USD (약 4,170만 원)에 판매했으며, 카나 카와니시 갤러리(Kana Kawanishi Gallery)는 안제 히데오(Hideo Anze)의 회화 두 점을 각각 5,200 USD (약 720만 원), 3,800 USD (약 530만 원)에 판매했다.

다쿠로 소메야 컨템포러리 아트(Takuro Someya Contemporary Art)는 오카자키 겐지로(Kenjiro Okazaki)의 작품을 모두 판매했다.

탕 컨템포러리(Tang Contemporary)는 장콸(Jang koal)과 우국원(Wu Kukwon)의 회화 3점을 18,000–115,000 USD (약 2,500만–1억6천만 원)에, 윤협(Yoon Hyup)의 Myth를 51,000 USD (약 7,090만 원)에, 안드레아 갈바니(Andrea Galvani)의 애플 필러 조각 2점을 각각 28,000 USD (약 3,900만 원)와 30,000 USD (약 4,170만 원)에, 태국 작가 공칸(Gongkan)의 회화와 조각 3점을 8,000–45,000 USD (약 1,110만–6,260만 원)에 판매했다.

프리즈 스텐드 프라이즈 (FRIEZE STAND PRIZES)

프리즈 서울 스탠드 프라이즈는 도쿄 기반의 테이크 니나가와(Take Ninagawa)에 돌아갔다. 이번 부스는 아오키 료코(Ryoko Aoki), 다이하라 요코(Yoko Daihara), 오타케 신로(Shinro Ohtake), 사사모토 아키(Aki Sasamoto), 요시마스 고조(Gozo Yoshimasu), 스텔라 존(Stella Zhon)의 그룹 프레젠테이션으로, 여성 선구적 예술가들에 대한 주제적 집중이 높이 평가되었다. 심사는 가브리엘 리터(Gabriel Ritter), 오은주(Grace Oh), 장혜정(Hyejung Jang)이 맡았다. 올해의 프라이즈는 프리즈 서울 공식 페인트 파트너인 노루(Noroo)가 후원했다.

‘포커스 아시아(Focus Asia)’에서는 인도네시아의 코헤시 이니셔티브(kohesi Initiatives)가 티모테우스 앙가완 쿠스노(Timoteus Anggawan Kusno)의 설치 작업으로 스탠드 프라이즈를 수상했다. 심사에는 김재석(Jaeseok Kim), 전효경(Hyo Gyoung Jeon), 알렉스 젠(Alex Jen)이 참여했다.

명예 언급(Honorable Mentions)은 서울 기반 갤러리 상희읗(sangheeut)과 드로잉룸(drawingRoom)에 주어졌다. ‘포커스 아시아’는 스톤 아일랜드(Stone Island)와의 협업으로 운영되며, 이는 젊은 갤러리들의 페어 참가를 가능하게 하는 지원금과 함께 프리즈의 기존 지원을 더하고 있다.

베네딕토 오디 제리코(Benedicto Audi Jericho), 코헤시 이니셔티브 디렉터는 “포커스 아시아 스탠드 프라이즈를 수상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이번 수상은 시간과 권력 속에서 잊혀진 이야기들을 환기시키는 내러티브적 실험을 이끈 티모테우스 앙가완 쿠스노의 비전이 탁월했음을 증명합니다. 프리즈 서울을 통해 이 프로젝트를 새로운 관객에게 선보일 수 있었던 기회를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갤러리 반응 (GALLERY RESPONSES)

이현숙, 국제갤러리 설립자 겸 대표는 “올해 4회를 맞은 프리즈 서울은 다시 한 번 서울이 아시아의 새로운 아트 허브로서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을 입증했습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불안정성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아시아·미국·유럽의 컬렉터와 큐레이터, 미술 관계자 및 애호가들은 물론 한국의 다양한 방문객들이 페어와 갤러리, 미술관을 찾으며 도시 전체를 예술의 축제로 만들었습니다. 국제갤러리의 부스는 한국 및 디아스포라 작가들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한국 현대미술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긴 거장부터 중견 화가, 젊은 작가들의 작품이 판매되며 한국 미술 시장의 활력을 다시금 보여주었습니다. 이번 페어는 한국 작가들의 위상과 시장 경쟁력을 부각시키며 내년 프리즈 서울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였습니다.”라고 말했다.

타데우스 로팍(Thaddaeus Ropac), 타데우스 로팍 창립자는 “올해 개막일에는 그 어느 해보다 진지한 컬렉터들이 집중적으로 참여하며 에너지와 매매 속도가 뚜렷하게 상승했습니다. 한국—특히 주요 미술관 컬렉션을 포함해—뿐 아니라 일본, 대만, 태국, 그리고 미국과 유럽의 컬렉터들에게 작품을 판매했습니다.”라고 언급했다.

리신 차이(Lihsin Tsai), 하우저 & 워스(Hauser & Wirth) 시니어 디렉터는 “올해는 서울에서 우리 아티스트들에게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마크 브래드포드(Amorepacific Museum of Art), 이불(Leeum), 루이스 부르주아(Hoam Museum of Art)의 주요 기관 전시와 함께, 작가들과 우리는 서울에서 새로운 작품을 소개하는 데 헌신하고 있습니다. 오프닝 첫날, 우리는 마크 브래드포드, 루이스 부르주아, 조지 콘도, 라시드 존슨, 리타 애커만, 제프리 깁슨, 안헬 오테로, 에이버리 싱어 등의 작품을 기존 고객뿐 아니라 새로운 세대의 지적이고 세련된 컬렉터들에게 판매하며 신뢰를 더욱 심화시켰습니다.”라고 말했다.

우찬규, 학고재 갤러리 회장은 “거센 파도 속에서도 흔들림 없는 바위처럼, 프리즈 서울은 확고하게 자리잡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성공에 축하를 보냅니다.”라고 말했다.

안혜령, 리안 갤러리 대표는 “작년에 비해 신규 컬렉터들의 방문이 늘어나 판매가 증가했으며, 갤러리를 새롭게 알게 된 고객층도 확대되었다. 프리즈의 참가를 기쁘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모니카 스프루스(Monika Sprüth), 스프루스 마거스(Sprüth Magers) 공동 창립자는 “올해 프리즈 서울은 아시아 주요 기관과 아시아 및 유럽의 유수 개인 컬렉션에 두드러진 판매를 기록했습니다. 방문객들은 전시에 깊이 몰입하며 큰 호응을 보였고, 이는 갤러리의 폭넓은 프로그램을 반영합니다. 오랜 기간 함께한 아티스트들의 작품은 여전히 중요한 위상을 입증했으며, 최근 합류한 젊은 작가들의 작품도 아시아 기관에 판매되었습니다. 페어 첫해부터 함께한 우리는 프리즈 서울이 지역 및 국제 미술 시장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다시금 확인했습니다.”라고 말했다.

니나가와 아쓰코(Atsuko Ninagawa), 테이크 니나가와 창립자는 “프리즈는 늘 우리에게 좋은 플랫폼이었지만 올해는 특히 특별했습니다. 개막 10분 만에 미국 주요 미술관 후원자들을 만나 여러 작품을 판매했으며, 그 중 일부는 미국 기관에 소장되었습니다. 특히 프리즈 서울은 여성 컬렉터들이 풍부하다는 점이 두드러지며, 여성들이 운영하는 훌륭한 컬렉션에 작품을 배치할 수 있었던 점이 매우 감사했습니다.”라고 말했다.

레이철 리만(Rachel Lehmann), 리만 머핀(Lehmann Maupin) 창립자는 “최근의 도전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4년차에 접어든 이번 주간은 우리 팀에게 큰 성공이었습니다. 서도호, 김윤신, 성능경 등 세계 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한국 작가들의 활약과 동시에, 데이비드 살레, 래리 피트먼, 라이자 루 등 한국 기관과 컬렉터들이 국제 작가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모습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번 주간은 서울이 강력한 컬렉터, 기관, 작가, 갤러리 생태계를 기반으로 계속 성장하는 세계 주요 미술 중심지임을 보여주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웬디 쉬(Wendy Xu), 화이트 큐브(White Cube) 아시아 매니징 디렉터는 “이번 4회차 프리즈 서울에서 화이트 큐브는 국내 컬렉터들과의 교류가 뚜렷하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서울 갤러리에서 전시했던 미노루 노마타, 툰지 아데니-존스, 모나 하툼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지역 재단과의 관계를 강화하는 작품 배치가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아시아 전역과 미국의 국제 큐레이터, 컬렉터들과도 새로운 관계를 형성했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렉 루레이(Greg Lulay), 데이비드 즈워너(David Zwirner) 파트너는 “프리즈 서울 2025에서 데이비드 즈워너는 강력한 판매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특히 루카스 아루다의 회화가 서울의 주요 미술관에 소장되었으며, 현재 서울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에서 대규모 회고전을 열고 있는 캐서린 번하트의 신작 회화가 판매되었습니다. 또한 쿠사마 야요이의 Infinity Net 회화와 청동 호박 조각, 리사 유스카바지, 후마 바바, 오스카 무리요, 월터 프라이스의 신작, 그리고 프란시스 알리스, 브리짓 라일리, 미카엘 보레만스, 말레네 뒤마, 볼프강 틸만스 등의 주요 작품들도 거래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아오야마 와헤이(Wahei Aoyama), 라이트하우스 콜드 카나타(A Lighthouse called Kanata) 창립자는 “프리즈 서울은 저희의 첫 프리즈 참가이자 한국 시장 데뷔였는데, 놀라울 정도로 성공적이었습니다. 야스다 간(Kan Yasuda)의 대리석 조각 Myomu는 타이베이 푸본 미술관이 소장했고, 사토루 오자키(Satoru Ozaki)의 스테인리스 스틸 조각 can i see you는 휴스턴 미술관에 소장되었습니다. 아야네 미카기(Ayane Mikagi), 사토 켄타로(Kentaro Sato), 하세가와 기요(Kiyo Hasegawa)의 회화와 이쿠타 니요코(Niyoko Ikuta)의 최신 유리 조각은 미국, 한국, 영국의 주요 개인 컬렉션에 배치되었습니다. 이번 데뷔는 큰 성공이었으며, 2026년 다시 돌아오길 기대합니다.”라고 말했다.

막스 보시에(Max Bossier), 리슨 갤러리(Lisson Gallery) 디렉터는 “올해 페어의 에너지는 기대 이상이었습니다. 오프닝 첫날부터 현지 컬렉터와 미술관이 직접 부스를 찾아 다수의 작품을 구입했고, 아시아 전역에서 새로운 컬렉터들도 만날 수 있었습니다. 프리즈 서울에 늘 참여할 수 있어 기쁩니다.”라고 말했다.

다니시 섹산(Danish Seksan), SAC 갤러리 프로그램 디렉터는 “이번 주간은 놀라운 에너지로 가득했습니다. 여러 기관과 연결되었고, 많은 한국 컬렉터들을 만나며 향후 프로젝트를 위한 견고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특히 프라팟 지와랑산의 작업을 서울에서 선보일 수 있었던 것은 한국적 맥락 속에서 강하게 울림을 주었고, 해외 협업의 기회를 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포커스 섹션에서 졸업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이전 회차에서 우리를 기억해준 사람들을 만날 수 있어 뜻깊었습니다.”라고 말했다.

티나 킴(Tina Kim), 티나 킴 갤러리 대표는 “프리즈 서울에서 미국과 한국 컬렉터들에게 주요 작품을 판매하며 성공적인 한 주를 보냈습니다. 현재는 한 국제 미술관과 대규모 인수에 대한 논의도 진행 중입니다. 더불어 동아시아 전역의 여러 큐레이터 및 재단과 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서울은 페어뿐 아니라 도시 전체가 큰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김창열 회고전은 많은 방문객들이 꼽은 하이라이트였습니다. 한국 시장은 여전히 견고하며, 진지한 컬렉터, 큐레이터, 기관들에게 점점 더 중요한 허브가 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라고 말했다.

카멜 메누르(Kamel Mennour), 메누르(Mennour) 창립자는 “올해는 작년보다도 더 강력한 성과를 보여준 훌륭한 에디션이었습니다. 한국 미술계를 알게 되고 협력할 수 있어 언제나 기쁩니다.”라고 말했다.

사사키 히로유키(Hiroyuki Sasaki), 도쿄 갤러리 + BTAP 디렉터는 “한국과 일본의 현대미술을 중심으로 한 우리의 프레젠테이션은 한국뿐 아니라 해외 기관 컬렉터들에게도 좋은 반응을 얻었습니다. 마지막 날까지 매우 바쁘게 부스를 운영했습니다.”라고 말했다.

레지 크람프(Régis Krampf), 레지 크람프 콜렉션 창립자 겸 디렉터는 “서울이 얼마나 놀라운 도시인지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이곳의 생동감 넘치는 에너지는 그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한국 관객은 깊은 몰입과 진정성 있는 관심을 보여주며 서구 근현대 미술에 열정을 보였습니다. 제가 선보인 조르주 브라크(Georges Braque)의 후기 입체주의 작품은 여러 차례 ‘뮤지엄 퀄리티 전시’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국제적·국내 컬렉터들이 열정적으로 부스를 방문했고, 첫 참가임에도 많은 이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유망한 관계로 발전할 것이라 확신합니다.”라고 말했다.

에두아르 말린그(Edouard Malingue), Kiang Malingue 공동 창립자는 “올해 프리즈 서울에서는 젱 치엔잉(Tseng Chien Ying)의 개인전을 선보일 수 있어 매우 기뻤습니다. 작가를 새로운 관객층에 소개할 수 있었으며, 부스는 거의 매진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

김나형, 디스위켄드룸(ThisWeekendRoom) 창립자는 “10주년을 맞이한 올해, 프리즈 서울 참여는 작은 의미 있는 교류가 지속적인 영향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믿음을 다시금 확인시켜주었습니다. 한국 신진 작가들의 목소리를 세계와 나눌 수 있었고, 서울의 역동적인 문화적 풍경에 기여할 수 있어 큰 영광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유에미(Emi Eu), STPI 총괄 디렉터는 “올해 다시 참여하게 되어 기쁩니다. 관객층에서 변화를 느꼈는데, 새로운 얼굴들이 많았고 열정적인 분위기가 강했습니다. 새로운 컬렉터들이 유입되고 있는 것이 분명하며, 이는 매우 고무적입니다. 관객들의 따뜻한 반응을 받았고, 도시 전역에서 다양한 이벤트가 열리며 서울이 여전히 아시아 현대미술의 중요한 중심지임이 분명히 드러났습니다.”라고 말했다.

제니퍼 카르발류(Jennifer Carvalho), 카르발류(Carvalho) 창립자는 “율리아 이오실존(Yulia Iosilzon)의 설치 작업은 특히 프리뷰 데이에서 큰 울림을 주었습니다. 개인 부스를 지나던 방문객들이 집중을 새롭게 하며 작품을 감상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첫 프리즈 참가인 만큼, 분명하고 독창적인 비전을 선보이는 것이 중요했는데, 이번 작업은 현장에서 크게 빛났습니다. 대화의 대부분은 한국 컬렉터들과 이루어졌지만, 싱가포르, 홍콩, 베이징의 컬렉터들 역시 큰 관심을 보였습니다. 젊은 컬렉터와 기성 컬렉터 모두에게 호응을 얻으며, 프리즈의 보편적 영향력과 이오실존의 작업이 한국 수집가들의 흐름에 잘 맞아떨어짐을 보여주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제이슨 함(Jason Haam), 제이슨 함 갤러리 창립자는 “이번 페어는 매우 건전했습니다. 많은 이탈리아 및 유럽 컬렉터들을 만났습니다.”라고 말했다.

산드라 힌드만(Sandra Hindman), 레 정뤼미니르(Les Enluminures) 대표 겸 CEO는 “올해로 네 번째 참여인데, 지난 해들과 마찬가지로 긍정적 경험이었습니다. 한국 관객은 자국의 유산과 장인정신을 소중히 여기기 때문에 유럽의 헤리티지와 예술성에도 깊은 관심을 보입니다.”라고 말했다.

가나 카와니시(Kana Kawanishi), 카나 카와니시 갤러리 창립자는 “포커스 아시아 섹션 첫 참가로, 우리는 이탈리아, 일본, 한국 컬렉터들에게 7점을 판매했습니다. 그중 하이라이트는 한국의 한 가족에게 판매된 안제 히데오(Hideo Anze)의 5,200달러 작품이었습니다. 이 가족은 이번이 첫 미술품 구매라고 밝혔는데, 딸이 최근 런던의 주요 갤러리에 취업하면서 수집을 시작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에 함께할 수 있어 큰 영광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

루이지 마졸레니(Luigi Mazzoleni), 마졸레니(Mazzoleni) 갤러리스트는 “올해로 네 번째 프리즈 서울 참가인데, 한국 컬렉터들과 교류하고 우리의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매우 소중히 생각합니다. 올해 부스에는 보날루미(Bonalumi), 카스텔라니(Castellani), 눈지오(Nunzio), 살보(Salvo), 피스톨레토(Pistoletto), 바자렐리(Vasarely)의 작품이 포함되었습니다. 컬렉터와 미술계의 관심과 호응에 만족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여준수, 갤러리 조선 디렉터는 “방문객 수가 예상보다 많았으며, 진정한 국제 아트페어에 와 있는 듯한 경험이었습니다.”라고 말했다.

누카가 고타로(Kotaro Nukaga), 고타로 누카가 디렉터는 “올해는 첫 공식 참가였지만, 수년간 프리즈 서울을 꾸준히 방문해 왔습니다. 한국 컬렉터들의 강력하고 열정적인 관심을 확인했을 뿐 아니라 일본 방문객들도 다수 만났습니다. 반응이 어떨지 확신할 수 없었던 작품들도 깊이 있는 성찰과 함께 받아들여졌습니다. 관객들과의 대화를 통해 작품의 의미를 진지하게 공유할 수 있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주요 참석자 (ATTENDEES)

프리즈 서울의 참석자 명단은 미술, 컬렉팅, 문화 전반에 걸친 페어의 폭넓은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주요 참석자로는 대한민국 영부인 김혜경 여사와 오세훈 서울시장이 있었다. 함께 자리한 작가로는 Mark Bradford, Takashi Murakami, Joel Mesler, David Salle 등이 포함되었다.

주요 컬렉터, 자선가 및 후원자로는 Marisa Chearavanont(방콕 쿤스할레 설립자), 이미영, Neil Simkins(뉴욕 기반 후원자), Kenneth Choe, Elizabeth Chun, Raymond Dong, 신동빈, Lonti Ebers, Vivienne Fried, Yassmin Ghandehari, Jose Pae Lopez Gonzalez, Terri Holoman, 홍라영, Peter Kahng, Haja Marie Kanu, 김웅기, 김희근, 구본권, Marc Lee, 이웅열, Christian Levett, Carol Sutton Lewis, Peter Marino, Malia Obama, Purat Osathanugrah, 박수진, Kristin Rey, 손유경, 윤지윤, Patrick Sun(Sunpride Foundation 설립자), Ann Soh Woods, Maggie와 Richard Tsai, 정용진, Qiao Zhibing(Tank Shanghai 설립자) 등이 있었다.

엔터테인먼트 및 문화계에서는 리사(BLACKPINK), RM·V·제이홉(BTS), Mark(NCT), 안소희, 배두나, 이효리, 효연(SNSD), 디에잇(세븐팀), 버논(세븐틴), 페기구 (Peggy Gou), 소지섭, 이종석, 이정재, 김연아, 임수정, Annie, 우찬과 영서(ALLDAY PROJECT), 류진(ITZY), 슬기(Red Velvet), 이승기, Baby DONT Cry, 송경아 등이 참석했다.

또한 미술계 주요 인사들도 대거 참석했다. Wassan Al-Khudhairi(큐레이터), Paola Antonelli(뉴욕 현대미술관 수석 큐레이터), Sam Bardaouil과 Till Fellrath(베를린 함부르거 반호프 공동 디렉터), Margherita Belcredi(큐레이터), Connie Butler(뉴욕 MoMA PS1 관장), 전성찬(아모레퍼시픽미술관 관장), 정도련 (홍콩 M+뮤지엄 부관장 겸 수석 큐레이터), Mami Kataoka(모리미술관 관장), Ruba Katrib(뉴욕 MoMA PS1 큐레이터 겸 큐레토리얼 디렉터), Lisa Kim(구글 아트&컬처 디렉터), Vivian Li(댈러스 미술관 큐레이터), 이소영(샌프란시스코 아시아미술관 관장), Kyung An(뉴욕 구겐하임 아시아미술 큐레이터), Bana Kattan(구겐하임 아부다비 큐레이터), Aaron Rio(시애틀미술관 큐레이터), 이서현(샌프란시스코 아시아미술관 관장), Lesley Ma(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큐레이터), Herve Mikaeloff(큐레이터), Christine Starkman(톨레도미술관 큐레이터), Sarah Suzuki(뉴욕 현대미술관 부관장), Philip Tinari(UCCA 베이징 관장), Matthew S. Witkovsky(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큐레이터) 등이 있었다.

기관 및 미술관 그룹 (INSTITUTIONAL ATTENDEES AND MUSEUM GROUPS) 참석

프리즈 서울은 나흘간의 행사 기간 동안 전 세계 160개가 넘는 기관 및 미술관 그룹 관계자들이 참석하였다.

아시아(Asia)
한국에서 참석한 기관으로는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아트선재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름지기, 아틀리에 에르메스, 부산시립미술관, 청주국립박물관, 코리아나미술관, 대림미술관, 두산아트센터, 푸투라 서울, 광주비엔날레재단, 광주시립미술관, 경기문화재단, 한화문화재단, 헤레디움, 호반문화재단, 호림박물관, 현대카드 스토리지, 일진문화재단, 일민미술관, 전남문화재단, 케이앤엘뮤지엄, 카이스트미술관, 구하우스뮤지엄,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가구박물관, 리움, 라인문화재단, 롯데뮤지엄, 국립현대미술관 후원회원회, 국립현대미술관 재단, 뮤지엄 그라운드, 부산현대미술관, 뮤지엄 산, 백남준아트센터,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세계문자박물관, OCI미술관, 파라다이스문화재단, 박서보재단,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포도뮤지엄, 사비나미술관, 세화미술관, 서울문화재단, 서울시립미술관, 서울대학교미술관, 송은, 스페이스K, 우란문화재단, 월드쥬얼리뮤지엄, 열음 등이 있다.

중국에서는 798 큐브 미술관, 아라냐 아트센터, 더지 미술관, 더 잉 재단, 엔노바 미술관, 골든 이글 미술관, 허 미술관, KWM 아트센터, 마칼린 아트센터, 파워 스테이션 오브 아트, 파워롱 미술관, 레드 브릭 미술관, 록번드 미술관, 타이캉 미술관, 탱크 상하이, 울렌스 현대미술센터, 유즈 뮤지엄 상하이, 즈 재단 등이 참여했다.

홍콩에서는 아시아 아트 아카이브, K11 아트 파운데이션, M+ 뮤지엄, 선프라이드 파운데이션, 타이쿤 문화예술센터가 참석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마칸 현대미술관이 참여했다.

일본에서는 아르티존 미술관, 베네세 나오시마 아트사이트, CCC 아트랩, 현대미술재단, 후쿠타케 재단, 하라 뮤지엄 ARC, 모리 미술관, 도쿄도 현대미술관, 시가현 현대미술관, 국립 오사카 현대미술관, 도쿄도 사진미술관이 참석했다.

필리핀에서는 마닐라 현대미술·디자인 뮤지엄이 참석했다. 싱가포르에서는 싱가포르 예술위원회, 싱가포르 국립미술관, 싱가포르미술관, 타노토 아트 파운데이션이 참석했다.

대만에서는 RC 문화예술재단, 타이중 미술관, 타오 아트 스페이스, 윈싱 아트 플레이스가 참여했다. 태국에서는 방콕 쿤스할레, 딥 방콕, 인탱저블 인스티튜트가 참석했다.

미국(United States)

참석한 기관으로는 시카고 미술관(The Art Institute of Chicago),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Asian Art Museum San Francisco), 카네기 미술관(Carnegie Museum of Art), CCA 와티스 현대미술연구소(CCA Wattis Institute for Contemporary Arts), 클리블랜드 미술관(Cleveland Museum of Art), 댈러스 미술관(Dallas Museum of Art), 디아 아트 파운데이션(Dia Art Foundation), 렌슬리어 공과대학교 EMPAC(EMPAC at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프리스트 미술관(Frist Art Museum), 해머 미술관(Hammer Museum), 하와이 컨템포러리(Hawaii Contemporary), 하이 미술관(High Museum of Art), 후드 미술관(Hood Museum of Art),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메트로폴리탄 미술관(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모마 PS1(MoMA PS1), 휴스턴 미술관(The Museum of Fine Arts, Houston), 뉴욕 현대미술관(The Museum of Modern Art),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미술관(The Museum of the African Diaspora),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시애틀 미술관(Seattle Art Museum), 스마트 미술관(Smart Museum of Art), 스미소니언 협회(Smithsonian Institution),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Solomon R. Guggenheim Museum), 스피드 미술관(Speed Art Museum), 스위스 인스티튜트(Swiss Institute), 톨레도 미술관(Toledo Museum of Art), UCSB 아트·디자인·건축 미술관(UCSB Art, Design & Architecture Museum), 워커 아트센터(Walker Art Center) 등이 있다.

유럽·중동·아프리카 및 오세아니아 (EMEA & Oceania)

호주에서는 뉴사우스웨일스 주립미술관(Art Gallery of New South Wales), 아트스페이스 시드니(Artspace Sydney), 캔버라 컨템포러리(Canberra Contemporary), 호주 현대미술관(Museum of Contemporary Art Australia), 빅토리아 국립미술관(National Gallery of Victoria)이 참석했다.

덴마크에서는 트라넨 현대미술관(Tranen for Contemporary Art)이 참여했으며, 프랑스에서는 무쟁 여성미술가협회(FAMM, Femmes Artistes du Musée de Mougins), 루이 비통 재단(Fondation Louis Vuitton), 자오 우키 재단(Fondation Zao Wou-Ki), 르 콩소르시움(Le Consortium)이 참석했다.

독일에서는 함부르거 반호프(Hamburger Bahnhof)와 쾰른 응용미술관(Museum of Applied Art Cologne)이, 그리스에서는 조지 에코노무 컬렉션(George Economou Collection)이 참여했다.

네덜란드에서는 하트비히 아트 파운데이션(Hartwig Art Foundation), 노르웨이에서는 헤니 온스타드 미술관(Henie Onstad Kunstsenter), 러시아에서는 개러지 현대미술관(Garage Museum of Contemporary Art),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자이츠 아프리카 현대미술관(Zeitz Museum of Contemporary Art Africa), 스웨덴에서는 예테보리 미술관(Gothenburg Museum of Art), 스위스에서는 맘코 제네바(MAMCO Genève)와 바젤 쿤스트할레(Kunsthalle Basel)가 참석했다.

터키에서는 이스탄불 현대미술관(Istanbul Museum of Modern Art), 아랍에미리트에서는 구겐하임 아부다비(Guggenheim Abu Dhabi)와 샤르자 아트 파운데이션(Sharjah Art Foundation)이 참석했다.

영국에서는 현대미술협회(Contemporary Art Society), 런던 내셔널 갤러리(The National Gallery, London), 서펜타인 갤러리(Serpentine Galleries), 테이트(Tate), 테이트 모던(Tate Modern), 휘트워스 미술관(The Whitworth Art Gallery), 빅토리아 앤 알버트 미술관(Victoria and Albert Museum)이 참석했다.

영문 기사 내용(상기 기사 내용과 동일하다)

Frieze Seoul 2025: Expanding Korea’s Cultural Presence with Global Participation, Strong Sales and Long-Term Momentum

Seoul, Korea (September 7, 2025) — The fourth edition of Frieze Seoul concluded on September 6, 2025, with strong sales from the outset, a vibrant atmosphere and an active international audience led by collectors from across Asia, joined by those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 rest of the world. Presented alongside Kiaf SEOUL, operated by th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the two fairs together underscored Seoul’s position as a center of gravity for the art world, drawing artists, institutions, patrons and cultural figures from the region and beyond. The energy of the week reflected the vitality of the city’s expansive ecosystem of institutions, scholars and committed collectors, signaling confidence in a market navigating a more cautious global climate.

Following an invitation-only preview on September 3, Frieze Seoul 2025 brought together 121 exhibitors from 28 countries across Galleries, Frieze Masters and Focus Asia. Over four days, the fair welcomed 70,000 visitors from 48 countries, including representatives from more than 160 leading museums and institutions. City-wide programming animated the city’s neighborhoods including Euljiro, Hannam, Cheongdam and Samcheong, with extended hours and events at galleries and key venues such as Leeum Museum of Art, MMCA, Seoul Museum of Art, Art Sonje Center, Amorepacific Museum of Art and SONGEUN.

Frieze Seoul is supported by official headline partner LG OLED, whose collaboration bridges art and technology, and by Deutsche Bank, Frieze’s global lead partner, continuing a partnership of more than two decades.

Patrick Lee, Director of Frieze Seoul: “From the opening moments of the first day we saw strong sales, a vibrant spirit and active engagement from collectors and institutions. This momentum carried throughout the week, reaffirming Seoul’s role as a vital meeting point in the global art calendar. Most significant is the way Frieze Seoul continues to strengthen connections between Korea’s rich ecosystem of institutions, scholars and dedicated collectors, and the international art world. At the same time, the fair’s curated program positioned Seoul not only as a market center but also as a stage for artistic voices that resonate globally — from live performances and projects to new collaborations across the city — underscoring the foundations for long-term market growth.”

Kate Oh, Vice President of Customer Experience Marketing, LG Media Entertainment Solution Company, LG Electronics said: “At Frieze Seoul 2025, I was deeply moved to witness the meaningful harmony of art and technology and it was such a joy to invite everyone into the beautiful world of Park Seo-bo’s colors drawn from nature, brought to life through LG OLED.”

Marco Pagliara, Head of Emerging Markets, Private Bank, Deutsche Bank added: "Frieze Seoul 2025 showcased Korea's vibrant and dynamic contemporary art community with internationally acclaimed artists. As global lead partner, Deutsche Bank is delighted to support Frieze Seoul, this year hosting next generation guests especially for the fair."

In parallel with the fair, Frieze opened Frieze House Seoul, a new year-round exhibition space, with ‘UnHouse’, curated by Jaeseok Kim and launched under the leadership of newly appointed Director Andy St. Louis. Designed to extend dialogue beyond fair week through exhibitions and critical discourse, ‘UnHouse' runs through October 2, 2025.

SALES REPORTS

Both major international spaces and leading Korean galleries reported significant sales throughout the week, underscoring the fair’s position as a vital meeting point for the global art market

Hauser & Wirth made major placements into private collections and institutions across Asia, including Mark Bradford’s triptych Okay, then I apologize (2025) for $4.5 million and George Condo’s painting Purple Sunshine (2025) for $1.2 million. Additional highlights included two works on paper by Louise Bourgeois ($950,000 and $600,000) and a digital print on fabric for $165,000, a digital print on fabric ($165,000), and a painting by Rashid Johnson for $750,000. White Cube reported Georg Baselitz’s Erstens, bitte schön (2014) for €1.3 million, a Christine Ay Tjoe mixed media on canvas for $490,000, two Gormley sculptures (£450,000 and £250,000), a bronze by Tracey Emin (£220,000), a Mona Hatoum (£170,000), a Cerith Wyn Evans neon ($150,000), an Emmi Whitehorse mixed media work for $150,000, a painting by Tunji Adeniyi-Jones ($100,000), an Enrico David painting for $62,000, and two Minoru Nomata paintings ($68,000 and $60,000). Sprüth Magers confirmed sales including Condo’s Thinking and Smiling (2025) for $1.8 million, a Robert Morris Felt Piece for $600,000, two Barbara Kruger works ($500,000 and $100,000), a bronze by Anne Imhof (€150,000), a Mire Lee work for €20,000 and four Bernd and Hilla Becher photographs (€20,000 each). Thaddaeus Ropac placed Georg Baselitz’s Es ist dunkel, es ist (2019) for €1.8 million, an Alex Katz painting for $900,000, and works by Martha Jungwirth (€340,000 and €60,000), Joan Snyder ($160,000 and $60,000), and Antony Gormley (£25,000).

Korean galleries also recorded headline results. Hakgojae sold multiple works throughout the week including Kim Whanki’s oil on canvas Cloud and the Moon (1962) for ₩2 billion (approx $1.4 million). Kukje Gallery placed over 30 works, including a Park Seo-Bo mixed media work on canvas for $540,000-648,000, a Jenny Holzer text piece in the $400,000–480,000 range, and multiple Ha Chong-Hyun paintings for $99,000–276,000. Gallery Hyundai made significant placements including a Chung Sang-Hwa painting for around $600,000 and a John Pai sculpture for $300,000, while Tina Kim Gallery sold a Kim Tschang-Yeul painting for $350,000, three Ha Chong-Hyun paintings (ranging from $230,000–390,000), a sculpture by Mire Lee for $40,000 and a multi-media work for $25,000. PKM Gallery sold a Yun Hyong-keun, a Yoo Youngkuk and three works by Chung, Hyun for approximately $400,000, $250,000, and $60,000 respectively. Gallery Chosun placed a Choe Sooryeon for ₩15 million (approximately $10,800) and two works by Woo Min Jung for ₩15 million (approximately $10,800) apiece.


Blue-chip international names were equally active. David Zwirner placed new paintings and sculptures by Katherine Bernhardt, Huma Bhabha, Oscar Murillo and Walter Price, alongside major paintings and photographs by Michaël Borremans, Marlene Dumas, Wolfgang Tillmans and Lucas Arruda. Pace Gallery placed a painting by Mary Corse for $225,000, a Robert Indiana sculpture at $195,000, an Adolph Gottlieb canvas for $195,000, two multi-media works by Alicja Kwade for €38,000 each, a sculpture from Kiki Smith’s Small Wave for $28,000, three sculptures by Kohei Nawa at $18,000 each, and Kenjiro Okazaki’s multi-paneled painting with acrylic. Lisson Gallery sold multiple works by Olga de Amaral and Sarah Cunningham, a photograph by Hiroshi Sugimoto for $250,000 and four paintings by Leiko Ikemura (€140,000, €100,000 and two at €70,000) as well as placements of pieces by Oliver Lee Jackson and Julian Opie, while Lehmann Maupin reported sales including a Liza Lou beaded canvas ($240,000–260,000), a Hernan Bas painting for $225,000 and a David Salle painting ($130,000–170,000). Almine Rech confirmed strong placements, including paintings by Minjung Kim (€120,000–140,000), Youngju Joung ($70,000-80,000), Roby Dwi Antono ($50,000 - 60,000), Oliver beer ($50,000-60,000), Zio Ziegler ($45,000-55,000) and Szabolcs Bozó ($35,000–45,000). Mennour was another gallery to see success, finding sales including a Lee Ufan painting for €600,000 and a sculpture by Ugo Rondinone for $200,000, while Gladstone Gallery sold works including a Salvo painting for $285,000, multiple paintings by Maureen Gallace ($100,000 each), Ugo Rondinone ($70,000) and George Condo ($20,000–100,000), an Anicka Yi kelp sculpture for $60,000, a Rachel Rose painting for $55,000, a Gillian Carnegie painting for £50,000 and multiple David Rappeneau works ($16,500-32,000). Massimo de Carlo placed works by Lily Stockman ($50,000 - $100,000), Paola Pivi ($20,000-$40,000), Dominique Fung ($20,000-$30,000), and Hejum Bä ($20,000-$30,000).


At the same time mid-sized galleries also found strong demand. Commonwealth and Council placed works by Kang Seung Lee and Lotus L. Kang with local collectors and a Korean museum. Jason Haam sold a Lee Ufan for $100,000, two paintings by Moka Lee ($100,000 and $10,000), a painting by Mike Lee ($50,000), a mixed-media work by Sterling Ruby ($80,000) and a painting by Amanda Baldwin ($40,000). ThisWeekendRoom placed a painting by Jinhee Kim (€18,000–20,000) and paintings by Jiwon Choi and Seoul Kim (each €17,000–19,000). Canada Gallery sold an acrylic painting by Katherine Bernhardt for $150,000, another painting in a range of $20,000 to $50,000 and a few smaller works by the artist in the region of $40,000. ​​Meyer Riegger Wolff – a new gallery based in Seoul by Meyer Riegger and Galerie Jocelyn Wolff – placed a Miriam Cahn oil and chalk on canvas for 300,000 CHF and a work on paper by the artist for 5,000 CHF, two Alma Feldhandler works for 2,800 CHF and 2,000 CHF respectively, two works by Isa Melsheimer for €6,000 apiece, a Jeewi Lee for €7,000, and all 34 works from Jonathan Monk’s conceptual series at a €100-600 range.


Additional highlights from galleries across Korea and Asia included Tokyo Gallery + BTAP, which placed a Lee Jin-woo in the $60,000–70,000 range, four works by Kishio Suga ($10,000–30,000 each), and a Yoshio Sekine for $12,000. Arario Gallery also drew strong attention, reporting notable interest in paintings and sculptures by Lee Jinju, Kohei Nawa and SHIH Yung-Chun. Asia Art Center placed works by Chu Waibor and YuYu Yang (both $100,000-150,000). Kotaro Nukaga sold two Yu-ichi Inoue ink on paper works ($100,000 and $90,000) and three additional works in the $60,000–100,000 range. G Gallery placed six paintings by Choi Yoonhee ($2,400–19,000), a Hwang Sueyon work for $10,000 and an Isaac Moon for $2,000. Hive Center for Contemporary Art sold 18 paintings and one sculpture between $20,000 and $100,000, while Leeahn Gallery placed two Lee Kang-So works for ₩138,000,000 ($99,300 approx.) and ₩100,000,000 ($72,000), as well as pieces by Lee Jin-woo, Kwangho Lee, Kim Keun-Tai and others.

Anomaly sold a large oil on canvas by Toshiyuki Konishi for $30,000, and Kana Kawanashi Gallery sold two paintings by Hideo Anze ($5,200 and $3,800). Takuro Someya Contemporary Art sold out its presentation of works by Kenjiro Okazaki. Tang Contemporary achieved strong results, with three paintings by Jangkoal and Wu Kukwon sold in the $18,000–115,000 range, Yoon Hyup’s Myth placed for $51,000, two apple pillar sculptures by Andrea Galvani ($28,000 and $30,000), and three works by Gongkan ($8,000–45,000).

FRIEZE STAND PRIZES

The Frieze Seoul Stand Prize was awarded to Tokyo-based gallery Take Ninagawa, for its group presentation of Ryoko Aoki, Yoko Daihara, Shinro Ohtake, Aki Sasamoto, Gozo Yoshimasu and Stella Zhon, praised for its thematic focus on pioneering female artists and selected by a jury comprising ​​Gabriel Ritter, Grace Oh and Hyejung Jang. This year’s prize was supported by the Official Paint Partner of Frieze Seoul, Noroo.


In Focus Asia, Indonesian-based gallery kohesi Initiatives received the Focus Stand Prize for its installation of Timoteus Anggawan Kusno, selected by jury Jaeseok Kim, Hyo Gyoung Jeon and Alex Jen. Honorable mentions were awarded to Seoul-based galleries sangheeut and drawingRoom. Focus Asia is presented in collaboration with Stone Island, who provide subsidies that help enable young galleries’ participation in the fair, alongside Frieze’s existing support.

Benedicto Audi Jericho, Director, kohesi Initiatives remarked: “We are honored to receive the Focus Asia Stand Prize. Winning the prize is a testament to Timoteus Anggawan Kusno’s extraordinary vision in directing this narrative experiment that invites us to reflect on the stories lost to time and power. We thank Frieze Seoul for the opportunity to showcase this project to new exciting audiences.”

GALLERY RESPONSES

Hyun-Sook Lee, Founder and Chairwoman, Kukje Gallery: “Now in its fourth edition, Frieze Seoul has once again confirmed Seoul’s potential as a new art hub in Asia. Despite concerns over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and instability, collectors, curators, art professionals, and enthusiasts from Asia,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s well as a wide range of Korean visitors—came to the fair, galleries, and museums, turning the entire city into a remarkable celebration of art. At the heart of this, Kukje Gallery’s booth at Frieze Seoul centered on Korean and Korean diaspora artists. Works ranging from masters who have left a significant mark on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to mid-career painters, and the gallery’s younger artists were sold, reflecting the vibrancy of the art market. The fair once again highlighted the stature and market strength of Korean artists, raising even greater expectations for next year’s edition of Frieze Seoul.”

Thaddeus Ropac, Founder, Thaddeus Ropac: “There was a noticeable step up in the pace on opening day this year, in terms of the energy but critically in the concentration of serious collectors attending who are very focused and decisive in their buying. We’ve sold to collectors from Korea - including important museum collections - as well as Japan, Taiwan, Thailand, a few from America and Europe.”

Lihsin Tsai, Senior Director, Hauser & Wirth: “This year is a landmark moment for our artists’ presence in Seoul with major institutional exhibitions: Mark Bradford at Amorepacific Museum of Art, Lee Bul at Leeum Museum of Art, and Louise Bourgeois at Hoam Museum of Art. Our artists are as committed as we are to presenting outstanding new work here in Seoul. Not only are they integral to the cultural conversation here on the ground, our experience at the fair has also been consistently strong. On opening day we've found homes for exceptional works by Mark Bradford, Louise Bourgeois, George Condo, Rashid Johnson, Rita Ackermann, Jeffrey Gibson, Angel Otero, Avery Singer and others with long-standing clients of the gallery, deepening those trusted relationships, while also cultivating connections with a new generation of collectors who are intellectually engaged and highly sophisticated.”

Chankyu Woo, Chairman, Hakgojae Gallery: “Like a rock standing firm against the surging waves, Frieze Seoul remains unwavering, and we extend our congratulations on its continued success.”

Hyeryung Ahn, Chief director, Leeahn : “This year saw an increase in new collector visits compared to last year, leading to stronger sales and an expanded audience for our gallery. We are pleased to have taken part in Frieze.”

Monika Sprüth, Co-Founder, Sprüth Magers: "We had a strong Frieze Seoul this year, marked by notable sales to Asian institutions as well as to prominent Asian and European private collections. Visitors were highly engaged and responded with excitement to our presentation, which highlighted the full breath of our programming. The popularity of works by longstanding gallery artists proved the ongoing importance of legacy positions that have been central to the gallery. Younger positions that have joined our program in recent years were equally well received, prompting sales to two Asian institutions. We have taken part in Frieze Seoul since the fair’s inauguration, and this year’s edition has once more proven its key role within the regional and international art market."

Atsuko Ninagawa, Founder, Take Ninagawa: “Frieze has always been great for us but especially so this year. Within the first ten minutes of the fair opening we met amazing American museum patrons at our booth and sold multiple works, including to a US institution. Something in particular that Frieze Seoul delivers for us is an abundance of female collectors and I am grateful for the opportunity to place works with great collections here run by women.”

Rachel Lehmann, Founder, Lehmann Maupin: “Despite recent challenges, after four years this week continues to be a solid success for our team in Seoul! The art world has taken notice to the incredible talent coming out of Korea with artists such as Do Ho Suh, Kim Yun Shin, and Sung Neung Kyung making their global mark, and simultaneously Korean institutions and collectors are embracing international artists like David Salle, Lari Pittman, and Liza Lou, who have all had recent museum shows in the region. What has become very clear this past week is that Seoul continues to be a major art world capital with a robust ecosystem of collectors, institutions, artists, and galleries who are contributing to its continued growth!”

Wendy Xu, Managing Director, Asia, White Cube: “During this fourth edition of the fair, White Cube has seen a notable increase in engagement from local collectors, particularly those showing strong interest in artists we’ve exhibited at the Seoul gallery, such as Minoru Nomata, Tunji Adeniyi-Jones and Mona Hatoum. We are pleased to have placed works with local foundations, further strengthening our connections in the region. We have also established new relationships with international curators and collectors from across Asia, as well as from the United States.”

Greg Lulay, Partner, David Zwirner: “David Zwirner has seen strong sales results in our return to Frieze Seoul 2025. We are delighted to have placed a painting by Lucas Arruda with a notable museum in Seoul. The gallery also sold a new painting by Katherine Bernhardt whose work is currently the subject of the artist’s most comprehensive retrospective at The Hangaram Art Museum at the Seoul Arts Center. Additional highlight sales include a signature Infinity Net painting and bronze pumpkin sculpture by Yayoi Kusama, new works by Lisa Yuskavage, Huma Bhabha, Oscar Murillo and Walter Price, as well as important works by Francis Alÿs, Bridget Riley, Michaël Borremans, Marlene Dumas, and Wolfgang Tillmans among others”

Wahei Aoyama, Founder, A Lighthouse called Kanata: “Frieze Seoul marked our debut at not only Frieze but in the Korean market, and we had an incredibly successful show. A major sculpture in white marble by Kan Yasuda entitled Myomu was acquired by the Fubon Art Museum in Taipei, whereas the stainless-steel sculpture can i see you by Satoru Ozaki was acquired by The Museum of Fine Arts Houston. Contemporary paintings by Ayane Mikagi, Kentaro Sato and Kiyo Hasegawa, as well as the latest glass sculpture by Niyoko Ikuta, were sold to important private collections in the US, South Korea, and the UK. Our debut was a great success, and we look forward to returning again in 2026!”

Max Bossier, Director, Lisson Gallery: “We were positively surprised by the energy of the fair this year. Local collectors and museums came on the first day to view works in person and acquired a majority of the pieces on our booth. In addition we were able to meet new people from broader Asia. We always love participating in Frieze Seoul.”

Danish Seksan, Director of Programmes, Sac Gallery: “This week has been filled with brilliant energy - we’ve connected with institutions, met many Korean collectors, and built a strong foundation for our future projects. Presenting Prapat Jiwarangsan’s work in Seoul has been particularly meaningful, resonating strongly within the Korean context and opening exciting opportunities for future collaboration abroad. We’re ecstatic to have graduated from the Focus section, and it’s been wonderful to see people remember us from previous editions."

Tina Kim, Owner, Tina Kim Gallery: “We had a strong week at Frieze Seoul, having placed major works with US and Korean collectors alike, and we are currently in discussion with an international museum on a major acquisition. On top of this, we are working with a number of visiting curators and foundations across East Asia. Seoul really delivered this year—not just at the fair, but across the city. The institutional programming was a highlight, especially the Kim Tschang-Yeul retrospective at MMCA, which many visitors cited as a standout. It’s clear that the Korean market remains resilient and is becoming an increasingly vital hub for serious collectors, curators, and institutions.”

Kamel Mennour, Founder, Mennour: “It was a strong edition, even better than last year. We’re always glad to work with and get to know the Korean scene.”

Hiroyuki Sasaki, Director, Tokyo Gallery + BTAP: “Our presentation on Korean and Japanese contemporary art was well received not only among Korean but also overseas institutional collectors. We had a busy fair right until the last day.”

Régis Krampf, Director and Founder, Régis Krampf Collection: “I had forgotten just how incredible Seoul is. The vibrant energy here is unmatched. The Korean audience is deeply engaged and shows a genuine passion for Western historical art. My solo exhibition featuring Georges Braque’s Post-Cubist pieces has been likened to a museum-quality show multiple times. Both international and local collectors have been eagerly visiting my booth. Meeting them all for the first time, during my debut at Frieze, feels truly special. Although we are still getting acquainted, I can sense promising relationships are soon to come.”

Edouard Malingue, Co-Founder, Kiang Malingue: “We were very happy to participate in Frieze Seoul with a solo presentation of Tseng Chien Ying this year. We promoted the artist to a brand new audience and almost sold out the entire booth.”

Nahyung Kim, Founder, ThisWeekendRoom: “Participating in Frieze Seoul during our 10th anniversary year has reaffirmed our belief in the power of small, meaningful exchanges to create lasting impact. It has been a privilege to share the voices of Korea’s emerging artists with the world and to contribute to Seoul’s dynamic cultural landscape.”

Emi Eu, Executive Director, STPI: “We’re delighted to be back this year. I’ve noticed some shifts in the audience, with many new faces and a strong sense of enthusiasm. It’s clear that more new buyers are coming into play, which is exciting to see. We’ve felt very warmly received, and with so many events happening across the city, it’s evident that Seoul remains one of the most important centers for contemporary art in Asia.”

Jennifer Carvalho, Founder, Carvalho: “The ambition of Yulia Iosilzon’s installation clearly resonated, especially on the Frieze Seoul VIP Preview Day. I could sense a recalibration of focus when people passed the solo booth among the neighbouring group presentations. As our inaugural Frieze fair, it was crucial to me to put forth a presentation of this singularity and clarity of vision. The work really sings here. Conversations with collectors were largely with Koreans, yet also with weighty interest from collectors from Singapore, Hong Kong, and Beijing. I’m finding a balance between younger and more established collectors, which speaks to Frieze’s universal and far-reaching pull, as well as to the appeal and power of Iosilzon’s practice, her relevancy and alignment in Koreans’ collecting pursuits.”

Jason Haam, Founder, Jason Haam: “The fair is very healthy. We met many Italian and European collectors.”

Dr. Sandra Hindman, President and CEO, Les Enluminures: “This is our fourth year participating at the fair and it has been just as positive as our previous years. We find that because the Korean audience values their own heritage and craftsmanship, they are very attracted to European heritage and artistry.”

Kana Kawanishi, Founder, Kana Kawanishi Gallery: “As first-time exhibitors in the Focus Asia section, we placed seven works with collectors from Italy, Japan and South Korea. One highlight was the sale of a $5,200 Hideo Anze painting to a Korean family who told us it was their very first art purchase. Their daughter had recently begun working at a major gallery in London, which inspired them to start collecting. It was an honour to be part of that story.”

Luigi Mazzoleni, Gallerist, Mazzoleni: “This is the fourth time we have participated in Frieze Seoul. We greatly value the opportunity to connect with Korean collectors and share our programme with them. This year our booth features works by Bonalumi, Castellani, Nunzio, Salvo, Pistoletto and Vasarely. We are delighted with the energy and interest that collectors and the art community have shown towards our artists.”

Joonsoo Yeo, Director, Gallery Chosun: “The number of visitors exceeded our expectations — it truly felt like being at an international fair.”

Kotaro Nukaga, Director, Kotaro Nukaga: “This year marks our first participation, though we have been visiting Frieze Seoul for many years. We’ve experienced strong and passionate interest from Korean collectors as well as numerous Japanese visitors. We brought works we weren’t sure how they would be received, but the response has been deeply thoughtful. The conversations here have allowed visitors to truly engage with the meaning of the works.”

ATTENDEES

Attendees at Frieze Seoul reflected the fair’s reach across art, collecting, and culture. Leading the guest list were the First Lady of South Korea, Kim Hye-Kyung, and the Mayor of Seoul, Oh Se-hoon. Among the artists present were Mark Bradford, Takashi Murakami, Joel Mesler, David Salle.

Prominent collectors, philanthropists and patrons in attendance included Marisa Chearavanont (Founder, Bangkok Kunsthalle), Miyoung Lee and Neil Simkins (New York–based patrons), Kenneth Choe, Elizabeth Chun, Raymond Dong, Shin Dong-bin, Lonti Ebers, Vivienne Fried, Yassmin Ghandehari, Jose Pae Lopez Gonzalez, Terri Holoman, Rayoung Hong, Peter Kahng, Haja Marie Kanu, Woong-ki Kim, Higgin Kim, Christopher Koo, Marc Lee, Woong-yeol Lee, Christian Levett, Carol Sutton Lewis, Peter Marino, Malia Obama, Purat Osathanugrah, Sujin Park,Kristin Rey, Michael Rubel and Kristin Rey, Yookyung Sohn, Jiyoon Yoon, Patrick Sun (Founder, Sunpride Foundation), Ann Soh Woods, Maggie and Richard Tsai, Chung Yong-jin, and Qiao Zhibing (Founder, Tank Shanghai).

The fair also brought together leading artworld professionals such as Wassan Al-Khudhairi (curator), Paola Antonelli (Senior Curator,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Sam Bardaouil and Till Fellrath (Directors, Hamburger Bahnhof, Berlin), Margherita Belcredi (curator), Connie Butler (Director, MoMA PS1, New York), Seungchan Jeon (Director, Amorepacific Museum of Art, Seoul), Doryun Chung (Deputy Director and Chief Curator, M+ Museum), Mami Kataoka (Director, Mori Art Museum), Ruba Katrib (Curator and Director of Curatorial Affairs, MoMA PS1, New York), Lisa Kim (Director of Art & Culture, Google), Vivian Li (Curator, Dallas Museum of Art), Soyoung Lee (Director, Asian Art Museum of San Francisco), Kyung An (Curator of Asian Art, Guggenheim New York, Bana Kattan (Curator, Guggenheim Abu Dhabi), Aaron Rio (Curator, Seattle Art Museum), Seohyeon Lee (Director, Asian Art Museum, San Francisco), Lesley Ma (Curator,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Herve Mikaeloff (curator), Christine Starkman (Curator, Toledo Museum of Art), Sarah Suzuki (Associate Director, The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Philip Tinari (Director, UCCA Center for Contemporary Art, Beijing) and Matthew S. Witkovsky (Curator, Art Institute of Chicago).

From the wider world of entertainment and culture, guests included Annie, Woochan and Youngseo (ALLDAY PROJECT), Baby DONT Cry, Lisa (BLACKPINK), J-Hope, RM, and V (BTS), Mark (NCT), SeulGi (Red Velvet), The8 and Vernon (Seventeen), Hyoyeon (SNSD), Sohee Ahn, Bae Doona, Peggy Gou, Lee Hyori, So Ji-sub, Lee Jong Suk, Lee Jung-jae, Yuna Kim, Itzy Ryujin, Lee Seung-gi, Im Soo-jung, and KyungAh Song.

INSTITUTIONAL ATTENDEES AND MUSEUM GROUPS

Representatives from more than 160 institutions and museum groups attended across the four-day run, including the following.

Asia

Korean institutions in attendance included the Amorepacific Museum of Art, Art Sonje Center, Arts Council Korea, Arumjigi Culture Keepers Foundation, Atelier Hermes, Busan Museum of Art, Cheongju National Museum, Coreana Museum of Art, Daelim Museum, Doosan Art Center, Futura Seoul, Gwangju Biennale Foundation, Gwangju Museum of Art,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Hanwha Foundation of Culture, Heredium, Hoban Cultural Foundation, Horim Museum, Hyundai Card Storage, Iljin Culture Foundation, Ilmin Museum of Art, Jeonnam Cultural Foundation, K&L Museum, KAIST Art Museum, Koo House Museum,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Korea Furniture Museum, Leeum, Line Cultural Foundation, Lotte Museum of Art, Membership Society for MMCA, MMCA Foundation, Museum Ground, Museum of Contemporary Art, Busan, Museum SjAN, Nam June Paik Art Center, National Museum of Korea,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National Museum of World Writing Systems, OCI Museum, Paradise Cultural Foundation, Park Seo-bo Foundation, PLATFORM-L Contemporary Art Center, PODO Museum, SAVINA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hwa Museum of Art, Seoul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Seoul Museum of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of Art, Songeun, Space K, Wooran Foundation, World Jewellery Museum, and Yeol. From China: 798 Cube Art Museum, Aranya Art Center, Deji Art Museum, De Ying Foundation, ENNOVA Art Museum, Golden Eagle Museum of Art, He Art Museum, KWM Art Center, Macalline Center of Art, Power Station of Art, Powerlong Art Museum, Red Brick Art Museum, Rockbund Art Museum, Taikang Art Museum, TANK Shanghai, Ullens Center for Contemporary Art, Yuz Museum Shanghai, and Zhi Foundation. From Hong Kong: Asia Art Archive, K11 Art Foundation, M+ Museum for Visual Arts and Culture, Sunpride Foundation, and Tai Kwun Center for Heritage & Arts. From Indonesia: Museum MACAN. From Japan: Artizon Museum, Benesse Art Site Naoshima, CCC Art Lab, Contemporary Art Foundation, Fukutake Foundation, Hara Museum ARC, Mori Art Museum, Museum of Contemporary Art Tokyo, Museum of Modern Art Shiga, The National Museum of Art Osaka, and Tokyo Photographic Art Museum. From the Philippines: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Design Manila. From Singapore: National Arts Council, National Gallery Singapore, Singapore Art Museum, and Tanoto Art Foundation. From Taiwan: RC Culture and Arts Foundation, Taichung Art Museum, Tao Art Space, and Winsing Art Place. From Thailand: Bangkok Kunsthalle, Dib Bangkok, and in-tangible institute.

United States

Institutional presence included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Asian Art Museum San Francisco, Carnegie Museum of Art, CCA Wattis Institute for Contemporary Arts, Cleveland Museum of Art, Dallas Museum of Art, Dia Art Foundation, EMPAC at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Frist Art Museum, Hammer Museum, Hawaii Contemporary, High Museum of Art, Hood Museum of Art,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MoMA PS1, The Museum of Fine Arts, Houston, The Museum of Modern Art, The Museum of the African Diaspora, San Francisco Museum of Modern Art, Seattle Art Museum, Smart Museum of Art, Smithsonian Institution, Solomon R. Guggenheim Museum, Speed Art Museum, Swiss Institute, Toledo Museum of Art, UCSB Art, Design & Architecture Museum, and the Walker Art Center.

EMEA & Oceania

From Australia: Art Gallery of New South Wales, Artspace Sydney, Canberra Contemporary, the Museum of Contemporary Art Australia, and the National Gallery of Victoria. From Denmark: Tranen for Contemporary Art. From France: FAMM (Femmes Artistes du Musée de Mougins), Fondation Louis Vuitton, Fondation Zao Wou-Ki, and Le Consortium. From Germany: Hamburger Bahnhof and the Museum of Applied Art Cologne. From Greece: the George Economou Collection. From the Netherlands: Hartwig Art Foundation. From Norway: Henie Onstad Kunstsenter. From Russia: Garage Museum of Contemporary Art. From South Africa: Zeitz Museum of Contemporary Art Africa. From Sweden: Gothenburg Museum of Art. From Switzerland: MAMCO Genève and Kunsthalle Basel. From Turkey: Istanbul Museum of Modern Art. From the UAE: Guggenheim Abu Dhabi and Sharjah Art Foundation. From the UK: Contemporary Art Society, The National Gallery, London, Serpentine Galleries, Tate, Tate Modern, The Whitworth Art Gallery, and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