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현대 뉴욕 프로젝트 스페이스는 11월 6일부터 12월 27일까지 박현기(1942—2000)의 개인전 《Pass Through the City》(사진=갤러리현대)

갤러리현대 뉴욕 프로젝트 스페이스는 11월 6일부터 12월 27일까지 박현기(1942—2000)의 개인전 《Pass Through the City》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한국 비디오아트의 선구자인 박현기가 1981년 맥향화랑 전시에서 선보였던, 대구 도심을 아우르는 대표적 퍼포먼스〈도심지를 지나며〉(1981)의 영상 3점과 사진 작업 24점을 아카이브 자료와 함께 소개한다. 1981년 맥향화랑에서 선보인 〈도심지를 지나며〉의 원작은 16m 트레일러가 대구 시내를 40분간 횡단하는 대형 퍼포먼스와 3m, 2.2m의 대형 인공 돌들, 사진과 설치, 실시간 및 녹화 영상으로 구성되며 전시장과 바깥, 대구 시내의 경계를 허물고 연결하는 국내 최초의 매체 융합적 작업이었다. 이번 전시를 통해 또 다른 도시인 뉴욕의 도심지로 이식된 그의 작업은 이질적인 시공간을 연동시키며, 기술이 신비성의 장막을 제치고 대신 인간의 감각과 지각을 형성하는 수많은 매체 중 하나로 흡수되는 비디오 아트의 대안적 계보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심지를 지나며〉는 설치, 퍼포먼스, 비디오를 아우르는 박현기의 멀티미디어 작업이 야외의 도시와 자연으로 확장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원작은 〈작품 A〉, 〈작품 B〉, 〈작품 C〉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이번 전시의 구심점은 〈작품 B〉로, 합성수지로 커다란 인공 돌을 제작, 거울을 부착한 뒤 대형 트레일러에 실어 열 명가량의 작가들과 함께 대구 도심을 40분간 횡단한 작업이었다. 이 과정이 영상 두 개와 200개의 사진으로 기록되었고, 영상을 비롯해 사진 중 24점을 뉴욕에서 만나볼 수 있다. 퍼레이드를 마친 인공 돌은 대구은행 근처의 길거리에 설치되었으며 행인들이 돌을 바라보거나 만져보는 장면이 실시간 녹화되어 세 번째 영상이 된다.

퍼레이드를 마친 인공 돌이 대구은행 근처의 길거리에 설치되어 행인들이 돌을 바라보거나 만져보는 장면 (사진=갤러리현대)

대구 맥향화랑의 전시에서는 모니터 한 대가 은행 앞에 설치된 돌의 영상을, 모니터 두 대가 도심을 횡단하는 돌의 영상을 재생했다. 이때의 전시에서 〈작품 A〉도 함께 설치되었는데, 갤러리의 벽 한쪽을 허물고 그 자리에 커다란 인공 돌과 작은 실제 돌을 마주 보게 배치하여 거울로 서로의 모습을 보는 듯한 장면을 연출한 것이었다. 또, 〈작품 C〉에서는 작은 인공 돌을 대구의 시내 곳곳에 설치해 행인들의 반응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이렇게 여러 매체를 대조하고 실내와 야외를 가로지르는 작업 방식은 낙동강 변에서 펼쳐진 박현기의 다음 작업, 〈전달자로서의 미디어〉(1982)로 이어진다.

현시대, 생성된 이미지들과 이에 매개된 세계가 더 이상 현실을 보여주지 않고, 오히려 현실을 수많은 매체와 기호 속에 감춘다면,〈도심지를 지나며〉를 이루는 다양한 매개의 궤도들은 역으로 차이를 통해 경험적 현실의 윤곽을 드러낸다. 거울은 박현기의 초기작에서부터 반복되는 모티프로, 이 작업에서는 스크린 속 또 하나의 스크린으로써 작동한다. 도시를 행진하는 돌에 부착된 거울은 텔레비전의 친숙한 화이트 노이즈 속에서도 도시의 광경을 뒤집어 낯설게 만들며 주의를 각성한다. 작가가 작업 스케치에서 거울 속에 눈을 그리고 ‘모니터’라고 이름 붙인 점에서부터 이러한 효과를 의도했음을 알 수 있다.

퍼레이드를 마친 인공 돌은 대구은행 근처의 길거리에 설치되었으며 행인들이 돌을 바라보거나 만져보는 장면이 실시간 녹화되어 세 번째 영상이 된다. (사진=갤러리현대)

돌이 대구은행 앞에 멈추어 있는 영상과 함께 놓임으로써 야외의 두 장면이 갤러리의 화이트큐브 공간으로 유입되고, 각기 다른 각도, 속도, 길이를 지닌 영상들은 상이한 시간, 공간, 시선을 한 곳에 압축한다. 압축을 거듭할 때마다 영상과 인공 돌로 대표되는 ‘가상성’과 ‘인공성’이라는 성질, 그리고 각각의 현실과의 상대적 거리감에 대한 근본적 질문이 더 진하게 드러난다. 비평가 조중권이 작가와의 인터뷰에서 명료하게 표현했듯, “이미지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도심지를 지나며〉가 영상을 편집하지 않고서도 비디오에 대한 우리의 경험을 조작할 수 있는 것은 결국 가장 인간적인 ‘미디어’라 할 수 있는 인간 지각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이다.

갈수록 비물질적으로 변해가는 오늘날의 디지털 환경 속에서, 박현기의 멀티미디어 작업은 스크린을 ‘향해’ 바라볼 뿐 아니라 스크린을 ‘통해’ 세상을 보는 시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텔레비전이 가정에 보편화되기 시작한 시기부터 활동했던 그는 이미 움직이는 이미지인 ‘동영상,’ 즉 비디오가 현실로부터 관심을 돌리는 대신 자연의 일부로 존재하는 인간의 삶, 그 고유의 역학을 반영할 것을 촉구했던 것이다.

영문 기사 (상기 내용과 동일함)

Gallery Hyundai New York Project Space is pleased to announce Pass Through the City, a solo presentation of Park Hyunki (1942—2000).

This exhibition brings to life Park's one major performance, Pass Through the City (1981), through a set of three videos and 24 photographs alongside archival materials. The project was originally staged as a large-scale performance traversing the streets of Daegu (a city in southeast Korea) on a 50-feet-long trailer truck for forty minutes, and exhibited as a combination of large artificial stones, video playback, photography, and installation at Maekhyang Gallery, the first hybrid media project in Korean art history which dismantled boundaries between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urban environment outside. This ambitious exhibition, indexing a space and time that is dissonant from New York of the present, offers an alternate lineage of video art where technology is demystified and exists as one of many media embedded in the matrix of human perception and experience.

Pass Through the City became pivotal for the artist as he expanded into urban and natural environments in multimedia projects comprising of installation, performance, and video. The work originally consisted of three parts: Work A, Work B, and Work C. For Work B, the focal point of this presentation, Park produced a large artificial stone, attached a mirror, and loaded it on a truck, then drove around with ten fellow artists through downtown Daegu for forty minutes. The process was documented in two videos and 200 photos, out of which a selection of 24 is on view. Eventually, the stone was unloaded on a street facing Daegu Bank where a security camera recorded the reactions of passersby, constituting the third video footage. At Maekhyang Gallery, one monitor broadcasted footage from the bank while two other monitors played footage of the stone traveling through the city. In this original setting, Work B was accompanied by Work A, where a wall in the gallery was torn down and replaced with a pair of large and small artificial stones facing each others’ reflections in the attached mirrors. In Work C, a small artificial stone was placed at busy corners of Daegu and audience reactions were captured in photographs. This multi-channel approach traversing in and outdoors would extend into his subsequent work, Media as Translators (1983), staged at the Nakdong riverbank in Korea.

If manmade images in our time no longer reference reality and further conceal this absence through what appears as a chain of countless mediations, the multiple vectors of mediation in Pass Through the City towards the opposite: a play of differences which reveals the contours of lived reality. The mirror – a recurring motif since his earlier work that reflects water’s movement – functions as a screen within a screen in the footage of the parading stone, re-alienating and renewing focus on urban scenes which may otherwise phase out of attention through the placating glow of the television. Indeed, in a sketch for this work, the artist drew an eye inside the mirror, labeling it “monitor.” The effect is further reinforced by the jolting displacement of a huge slab of rock into urban scenery. Juxtaposed with the other footage of the rock resting in front of Daegu Bank, and both scenes ultimately transported into and presented in the gallery’s white cube, the videos collapse time, space, and perspective. With each collapse, this work seems to further converge the fundamental question of virtuality and artificiality, represented by the video footage and artificial stone. Succinctly put by critic Cho Choung-kwon in his conversation with the artist, “the image is not fixed.” Pass Through the City in effect manipulates video without editing film, working directly on perception as the human medium par excellence.

In our present environment that increasingly feels immaterial and digital, Park Hyunki’s multimedia practice insists on the importance of looking through, and not merely looking at, our screens. During the nascent years of commercial television, he appears to have sounded a prescient call for the dynamism of moving images to reflect rather than deflect the collective dynamics of human life within nature.

(아트앤비즈 =김진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