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미술관 전경 (사진= 빙하미술관)


빙하미술관은 오는 9월 27일부터 2026년 3월 29일까지 공식 개관 전 ⟪Beyond Black: Light, Time, Memory (블랙을 넘어: 빛, 시간 그리고 기억)⟫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미디어 아트의 선구자 알도 탐벨리니(Aldo Tambellini, 1930–2020)의 급진적 예술세계를 중심으로, 태국의 카민 르차이프라싯(Kamin Lertchaiprasert)과 한국의 아티스트 이이남(Lee Lee Nam)의 실감형 미디어 작품을 함께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탐벨리니가 평생에 걸쳐 탐구한 모든 색의 총합인 ‘블랙’의 철학과 전위적 실험을 깊이 있게 조명하는 동시에, 동시대 예술가들이 기술과 미디어를 통해 열어가는 새로운 감각의 지평을 탐구하는 장을 마련할 예정이다.

알도 탐벨리니
'기술의 진보와 정신의 진화' 사유

탐벨리니는 실험 영화, 비디오 아트, 퍼포먼스 전반에 걸쳐 매체의 경계를 끊임없이 확장하며, 현대 기술의 진보와 인간 정신의 진화를 연결 지어 사유한 작가이다. 그의 대표작이자 유작인 ⟨We are the Primitives of a New Era⟩는 기술 문명이 이끄는 새로운 ‘원시 시대’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며, 인간 본성과 창의성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알도 탐벨리니 작가 (사진= 빙하미술관)


이번 전시는 국내 최초로 그의 방대한 작업 세계를 조망하며, 드로잉과 회화, 설치, 영상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매체를 통해 그의 급진적 실험과 철학을 전시장 전반에 펼쳐 보일 예정이다.

입구에 설치된 루마그램(Lumagram : 손으로 그린 슬라이드 필름)에서 시작해 대형 벽면을 가득 메운 비디오그램(Videogram)까지, 관람객은 탐벨리니가 전통적 매체를 넘어 빛과 영상, 소리의 영역으로 예술을 확장해간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 사운드룸은 명상적 사운드와 빛이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감각을 내면으로 끌어들여 고요한 사유의 흐름에 잠기게 한다.

카민 르차이프라싯
"불교 철학 속 삶과 죽음의 본질"

실감형 전시장에서는 탐벨리니의 작품과 더불어 카민 르차이프라싯과 이이남의 미디어 작업이 교차 상영된다.

카민 르차이프라싯 작가 (사진= 빙하미술관)


카민은 불교 철학과 명상에서 영감을 받아 삶과 죽음의 본질을 다뤄온 작가로, ⟨After Death Before Next Birth⟩은 언리얼 엔진과 공간 오디오 기술을 활용해 관람객을 삶과 죽음의 경계로 이끈다. 이 몰입형 환경은 관람자가 자신의 존재와 유한성에 대해 깊이 성찰하도록 하며, 실감형 미디어의 기술적 잠재력과 철학적 깊이를 극대화한다.

이이남
디지털 매체로 고전 회화 현대적 재해석

한편, 이이남은 디지털 매체를 통해 고전 회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해온 작가로, ⟨꿈속의 광주⟩에서 유년 시절의 기억과 5·18 민주 항쟁을 초현실적으로 재구성한다.

안견의 ⟨몽유도원도⟩와 히에로니무스 보쉬의 ⟨쾌락의 정원⟩을 결합한 이 작품은 동서양의 초현실적 공간을 융합해 역사적 트라우마를 우화적 이미지로 전환하며, 관람객이 개인적 차원과 보편적 차원에서 광주의 아픔을 공감하도록 이끈다. 더불어 6미터 높이의 대형 설치작품 ⟨시가 된 폭포 Waterfall turned into a poem⟩에서는 5,300여 권의 고서에서 추출한 문자 데이터가 흰 포말로 쏟아져 내린다. 이는 문자와 이미지, 시간과 기억이 겹겹이 흘러 인간 정신과 문명의 역사를 웅장한 시적 풍경으로 펼쳐낸다.

탐벨리니가 남긴 말, ‘우리는 새로운 시대의 원시인이다’는 이번 전시의 정신을 압축하고 있다. 관람객은 탐벨리니의 급진적 실험과 카민, 이이남의 동시대적 해석이 한 공간에서 교차하며 만들어내는 다층적 감각 속에서, 개인과 집단, 기술과 감정, 침묵과 목소리 사이를 오가며 예술이 던지는 근원적 질문에 스스로 응답하는 시간을 가지게 될 것이다.

[작가 소개]

알도 탐벨리니
Aldo Tambellini (1930 - 2020, USA)

알도 탐벨리니(1930-2020)는 뉴욕 출생의 전위적 멀티미디어 아티스트로 실험 영화, 비디오 아트 및 퍼포먼스 분야의 선구자이다. 평생에 걸쳐 ‘일렉트로 미디어’와 검은색을 예술적, 철학적으로 탐구하며 예술 매체의 경계를 확장했다. 뉴욕의 블랙 게이트 극장에서 백남준 등과 협업한 최초의 비디오 아트 설치를 선보였으며, 그의 작품은 테이트 모던, MoMA, 베니스 비엔날레 등 세계적인 미술관에서 전시되었다.

알도 탐벨리니 Aldo Tambellini, We are the Primitives of a New Era, 2020, Immersive video, 10'(이미지 제공 _ 토퍼스 스튜디오)


⟨We are the Primitives of a New Era⟩는 2022년 작품으로 작고한 작가의 유작으로서 현대 기술 발전과 인류의 정신적 진화의 관계를 탐구하는 작품으로, 기술의 발전이 이끄는 새로운 원시 시대를 상징적으로 표현한다. 그가 생전 마지막까지 집요하게 탐구했던 인간성과 기술, 문명과 원시성의 관계를 집약하고 있으며, 이 작품에서 탐밸리니는 문명 속에서 되살아나는 ‘새로운 원시성’이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이는 문명화된 시대일수록 오히려 인간의 본질, 감각, 창의성에 대한 회귀가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실감 예술로 재탄생된 디지털 미디어와 원시적 형태를 융합시켜 제작된 그의 작품 속에서는 관람자가 현대 문명 속 새로운 원시인이 되어 변화와 가능성을 직접 체험하고 성찰하도록 이끈다.

카민 르차이프라싯
Kamin Lertchaiprasert (b.1964, Thailand)

카민 르차이프라싯(b. 1964)은 태국의 현대 미술가로, 회화, 설치, 판화, 조각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그의 작품은 불교 철학과 명상에서 영감을 받아, 자아 탐구와 내면의 성찰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 그는 태국 실파콘 대학교에서 판화를 전공한 후, 뉴욕에서 수학하며 국제적인 시야를 넓혔다.

미국에서의 예술 경험은 그가 내면과 존재에 대한 사유를 심화하고, 자신의 철학을 현대적인 언어로 표현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이후 태국 치앙마이에 정착한 그는 자연과 함께하는 삶을 실천하며, 명상과 불교 철학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 중심의 예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의 작업은 내면으로부터의 변화가 외부 세계를 바꾼다는 믿음을 바탕으로 하며, 작가 자신의 삶의 궤적과 깊이 연결된다. 그는 창작을 수행(practice)으로 간주하며, 예술가로서의 역할을 단순한 창조자가 아니라 수행자, 중재자, 명상가로 받아들인다.

카민 르차이프라셋은 시드니 비엔날레(1993, 2012), 베니스 비엔날레의'유토피아 스테이션'(2003), 부산 비엔날레(2008) 등 국제적인 전시회에 참여한 바 있다. 몰입형 비디오 작품인 <After Death Before Next Birth>는 카민 르차이프라싯의 작품에서 일관되게 다루어 온 삶과 죽음의 본질에 대해 다룬다.

언리얼 엔진과 공간 오디오 기술로 제작된 이 작품은 시청자가 경험하고 몰입할 수 있는 3차원 미디어 환경을 제공하여 삶과 죽음의 경계에 놓인 철학적 질문을 보다 생생하게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기술은 시청자가 작품에 더 깊이 빠져들고 자신의 존재와 존재에 대한 성찰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역할을 수행한다. 카민의 작품은 Solomon R. Guggenheim Museum과 National Gallery of Australia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이남(b. 1962, 한국)

이이남은 전남 담양에서 태어나 조선대학교 조소과를 졸업 후 동 대학원 석사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영상예술학 박사과정 수료,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미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작가는 자연의 현상과 삶의 느낌을 진솔하게 드러낸 명화들을 통해, 생동감과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화려한 디지털 이미지 속에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키고자 한다.

또한 자신의 이야기를 작품 속에 담아 대중과 친밀하게 소통하고, 삶의 가치와 행복 등 다양한 메시지를 교감하는 작업을 추구한다. 디지털로 재탄생되는 그의 작품들은 현대 사회 속에서 전통과 현재, 기술과 인간, 예술과 대중의 접점을 탐색하는 과정이며, 예술이 감상에서 경험으로, 소수의 전유물에서 대중과의 소통 수단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실험하며 예술의 접근성과 확장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다.

벨기에, 중국, 독일, 카타르, 뉴욕, 싱가포르, 파리, 런던 등 국내외에서의 개인전과 그룹전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자신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2016년 부산 비엔날레에서 작가로서는 최초로 Google의 VR 틸트 브러시(Tilt Brush) 기술을 접목시킨 협업전시를 선보였으며, 같은 해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전시를 진행해 관람객에게 많은 호응을 얻었다. 더불어 인천국제공항, 벨기에 지브라스트라트 미술관, 국립중앙도서관, UN본부,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 중국 수닝예술관 등에 작품이 소장되어있다.

빙하미술관 소개
Glacier Museum of Art

예술, 건축, 자연이 공존하는 열린 문화 공간 빙하미술관(Glacier Museum of Art)은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현대미술관으로, 신재생에너지 기업 한마음에너지의 이경남 회장과 심형금 관장의 오랜 문화예술에 대한 헌신 속에서 탄생했습니다. 두 분은 그린희망문화재단을 통해 예술과 지역 사회를 연결하며 문화예술 진흥과 사회 환원의 가치를 실천해왔습니다.

미술관은 이름처럼 ‘빙하’의 조형미를 건축에 구현했습니다. 수공간 위에 떠 있는 부유형 구조와 스테인리스 스틸, 유리로 이루어진 외벽은 자연의 빛과 시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며, 관람객에게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건축과 예술, 자연이 함께 호흡하는 사유의 장소를 지향합니다.

1만 2천평 부지 위, 1천평 규모로 설계된 빙하미술관은 지하 1층과 지상 1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시 공간은 직선과 곡선이 어우러져 리듬감 있는 분위기를 만들며, 특히 공중에 설치된 V자형 보행 통로에서는 360도 파노라마 뷰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어 마치 빙하 속을 거니는 듯한 특별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전시장 외에도 예술마당, 산책로, 아트숍, 카페, 컨벤션홀 등 다양한 문화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관람객들은 자연 속에서 예술과 휴식을 동시에 즐길 수 있습니다.

빙하미술관은 앞으로도 자연의 경이로움과 예술의 창의성을 연결하는 열린 문화 공간으로서, 전시와 교육, 학술 활동을 통해 기후 변화와 지속 가능한 미래에 대한 사유를 확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아셀 아트컴퍼니 소개

이번 전시를 기획한 ACEL Art Company는 단순한 갤러리를 넘어, 전시, 컨설팅, 네트워킹이 결합된 차세대 하이브리드 아트 플랫폼입니다. ACEL은 국내외 갤러리, 컬렉터, 문화 파트너가 한국을 거점으로 아시아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단순한 작품 전시를 넘어 관계와 경험을 연결하는 인프라로서 기능합니다.

ACEL의 전시와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김수현 대표는 서울옥션, 아라리오 갤러리(베이징·상하이), 뮤지엄웨이브 등에서 관장과 큐레이터로 활동하며, 국내외 미술관 전시 기획과 강의, 기고 등 다양한 경험을 쌓았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ACEL은 외부 전시 기획과 글로벌 파트너십 운영에서도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실현합니다. 현재 김수현 대표의 리더십 아래, ACEL은 빙하미술관 전시를 총괄하며 지역 문화 생태계를 확장하고, 미디어와 교육 콘텐츠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미술관 경험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서울 강남 역삼동에 위치한 ACEL의 약 600m² 규모 단독 공간은 각 층별로 특화된 전시 및 문화 프로그램 공간(GALLERY ONE / TWO / THREE, ACEL COMMUNITY LOUNGE, ACEL PRIVATE)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설계는 월 단위 팝업 전시부터 연 단위 파트너십 운영까지 유연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글로벌 갤러리와 브랜드 이벤트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합니다.

ACEL은 서울과 아시아 시장의 전략적 허브로서, 글로벌 컬렉터와 갤러리, 미술 전문가를 연결하며, 전시와 이벤트를 통해 브랜드와 예술, 문화가 자연스럽게 융합되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ART&BIZ= 김진부 기자)